한국스포츠과학연구소

본문 바로가기

스포츠과학 Korea Sports Science Institute

유소년기 시기의 특성

유소년기

초등학생 시기는 자아정체감을 형성하고 성인으로서의 삶을 준비하는 시작단계로 가정, 학교, 지역사회 등의 지도 및 교육이 그 어느 시기보다 크게 영향을 미치는 연령대이다. 또한, 성장발달이 가장 왕성한 시기로 환경변화에 민감히 반응하고 개인의 신체변화, 형태, 기능, 심리적인 면이 크게 작용하는 시기이다. 이 시기는 신체활동에 대한 욕구가 클 뿐만 아니라 이 시기에 이루어진 신체활동 경험은 신체적, 사회적, 심리·정서적 측면에서 인간의 전체적인 삶에 영향을 미친다. 먼저 초등학생의 신체적 특성을 살펴보면, 과거에 비해 초등학생의 체격 조건은 향상되었으나, 상대적으로 체력의 수준은 저하된 현상을 보이고 있어 체력을 증진시키는 것에 대한 중요성과 실천성에 관심이 더욱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우려는 최근에서야 문제가 제기된 것이 아니다. 1992년대에도 초·중·고등학생들의 체격은 향상 되고 있으나 체력은 1982년도에 비해 떨어진다고 제시하며,이에 대한 해답을 제시해야 한다고 주장해왔다. 그러나 25년이 지난 현재에도 같은 문제가 지속적으로 이어져오고 있다.

<초등학생 체격의 특성>

청소년기 체력의 특징은 무엇인가?

청소년기

인간은 태어나서 영유아기와 아동기를 지나면 청소년기에 접어든다. 청소년기는 13세에서 20세까지의 기간으로 중·고교시기를 포함한다. 이시기는 일생에 있어서 성장이 가장 왕성한 시기로, 신체적 또는 체력적으로 완성되는 단계이다. 이후의 청년기와 장년기를 대비하여 체력을 비축하고 신체적 기능을 최고 수준으로 끌어 올려야 한다. 이 시기에는 체격의 발달과 함께 운동 능력 또한 향상되는 단계이기 때문에 다양한 스포츠 활동을 통하여 신체 전반적인 운동 기술을 습득하고 발달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청소년기에는 신체의 생리적 기능이 가장 활성화 되어 있는 시기이므로 충분한 운동 시간과 강도가 적용되도록 해야 한다. 충분한 운동은 근육 및 신경계를 발달시키고, 신체 전반적인 성장과 성숙에 영향을 주는 동시에, 스트레스 해소 및 긍정적 사고를 키워주기 때문에 성격 형성 및 정신적 건강에 좋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청소년기에는 남·여간의 성차가 더욱 커지는 시기로 각자의 성적 특성을 이해하고, 그 특성에 맞는 운동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것도 중요하다. 또한, 청소년기의 높은 체력 수준은 성인이 되었을때 삶을 지탱해주는 활력소이자 건강의 근간이 될 수 있으므로 청소년기에 최대한 체력을 향상시켜 놓을 필요가 있다.

<생애 남녀 체력 변화의 비교 모식도>

성인 체력이란?

성인체력

체력이란 단순하게 일상생활이나 신체활동을 할 때 우리의 몸이 적극적으로 활동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넓은 의미에서는 인간이 사회의 한 구성원으로서 능률적으로 활동해 나갈 수 있는 신체 활동의 종합적 능력이라고 말할 수 있다. 체력은 주변 환경의 변화에서 오는 각종 스트레스를 견뎌내는 방위체력과 운동을 일으키고 지속시키며 조절 할 수 있는 행동체력으로 구성 된다. 방위체력은 기온, 기습, 기압, 가속도의 변화와 대기 및 수질오염 등의 물리화학적 스트레스에 견디는 능력, 세균, 바이러스, 기생충 등에 의한 생물학적 스트레스에 견디는 능력, 공복, 불면, 갈증, 피로, 시차와 같은 생리학적 스트레스에 견디는 능력, 불쾌감, 긴장, 고민, 슬픔, 불만 등과 같은 심리적 스트레스에 견디는 능력을 말한다. 행동체력은 8개의 요소로 구분된다. 그 중에서 근력, 순발력, 근지구력, 심폐지구력은 운동의 조정능력에 포함된 체력 요소들 보다 매우 가역적인 특성이 있는 에너지 체력 요소들이다. 따라서 규칙적인 운동에 의해 쉽게 향상되기도 하지만 운동을 중지 하면 그 동안의 운동효과가 단기간에 소멸되고 만다. 그러나 협응성과 같은 조정능력들은 비에너지적 체력요소들로서 비교적 영구적인 속성을 지니고 있다. 즉 한번 기술을 익히게 되면 장기간 동안 그 능력을 상실하지 않는다.

노인 체력이란?

어르신 체력

어르신(이하 “만65이상 어르신”)들 에게 필요한 체력으로는 건강관련체력요인인 근력, 근지구력, 심폐지구력, 유연성이 포함되고, 그 외에도 어르신들에게 필요한 체력 요인으로는 평형성과 협응력으로 모두 5가지 체력 요인으로 구성되어 있고, 체격요인으로는 신체조성(BMI)이 포함되어 있다. 건강관련체력은 건강을 유지하거나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예상하거나 예상하지 못한 신체적 도전과 일상활동을 수행할 수 있는 필수적인 신체적 능력의 유지하도록 돕는 것을 의미한다. 건강관련체력을 증가시키면 아래의 표<건강관련체력 요인과 효과>와 같은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Morrow et al., 2005).

[어르신 건강관련체력 요인과 효과]

요인 효과
심폐지구력 심혈관계 질병 발생위험률 감소
신체조성 심혈관계 질병, 당뇨, 암 발생위험률 감소
근력, 근지구력, 유연성 요통감소, 자세, 기능적 능력, 일상생활능력 향상
[ 출처 : Morrow et al(2005) ]

건강관련체력과 운동관련체력

  • - 건강관련체력 (health-related fitness)

    근력 및 근지구력, 심폐지구력, 유연성, 신체 조성(체지방률) 등의 체력 요소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성인기 이후에 연령의 증가 와 함께 인체 기관의 생리적 기능이 감퇴되어 발생되는 질병을 성인병이라고 하는데, 이러한 성인병은 운동 부족, 영양 과잉, 스트레스 등의 잘못된 생활습관에 의하여 발병 연령이 계속 낮아지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성인병은 대부분 규칙적인 운동을 통한 신체 기관의 기능과 체력을 발달시킴으로써 예방할 수 있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체력 향상을 위한 운동이 중요한 건강관리 수단으로 등장하게 되었다.

  • - 운동관련체력 (Skill-related fitness)

    빠르고 폭발적인 동작, 복잡한 기술 동작 등 스포츠에서 요구되는 기술을 효과적으로 발휘하는 데 필요한 스피드, 순발력, 평형 성, 협응성, 반응시간, 민첩성 등의 체력요소가 포함된다. 스피드는 신속하게 움직일 수 있는 능력을 말하고, 순발력은 얼마나 빠르게 큰 힘을 낼 수 있는지를 말한다. 평형성은 정적 또는 동적 상태에서 몸의 균형을 얼마나 잘 유지하는지를 말하고, 협응력 은 신체의 각 부위가 조화를 이루면서 원활하게 움직일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그리고 민첩성은 신체의 방향을 신속하게 바꿀 수 있는 능력을 뜻하며, 반응시간은 빛, 소리, 접촉 등과 같은 자극에 반응하는데 요구되는 시간을 말한다.

체력 용어에 대한 정의

- 신체활동 (Physical Activity)

NHFA 대골격근을 사용한 움직임(예: 걷기, 계단오르기, 정원가꾸기, 스포츠활동, 일과 관련된 활동)
USSG, ACSM 골격근의 수축에 의해 생성되는 신체의 움직임으로, 이와 함께 에너지의 소비가 증가하는
신체의 움직임
USHHS ACSM과 USSG의 정의에 추가하여 "신체활동"은 건강을 강화시키는 신체의 움직임으로 정의됨
MHLW 안정된 상태보다 많은 에너지를 소비하는 모든 움직임으로 정의

- 운동 (Exercise)

NHFA 체력, 운동수행력, 건강 또는 사회적 관계를 개선하기 위한 구체적인 목표를 가지고 레크리에이션, 여가에 참여하는 계획된 신체활동
USSG 체력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요소를 향상 또는 유지하기 위하여 수행된 계획되고, 구조화된
반복적인 신체 움직임
MHLW 신체활동 중에서 체력의 유지, 향상을 목적으로 한 계획적이고 의도적으로 실시하는 것

- 생활활동 (Living activity)

MHLW 신체활동 중에서 운동이외의 것으로 직업활동 중의 것도 포함.

- 중강도활동 (Moderate Activity)

NHFA 운동 중 대화가 가능한 수준의 활동적인 강도
ACSM 대부분 건강한 성인을 위해 절대적인 중강도 운동은 3-6 METs의 범위임. 개인에 따라 차이가
있으므로, 개인의 능력범위내에서 잘 유지될 수 있는 운동강도로, 비경쟁적으로 약 45분간
편안하게 유지될 수 있는 운동 강도임. 만약 운동능력을 안다 면 40-60% VO2max 사이임

- 격렬한 / 고강도 활동 (Vigorous Activity)

NHFA 체력수준에 의존적이지만 높은 강도의 활동으로 발한과 숨을 헐떡 또는 헉헉거리게 하는 정도의
운동강도
ACSM 대부분의 건강한 사람의 경우, 6 METs(대사당량)를 초과하는 운동강도 또는 운동능력이 알려진
경우 60%VO2max를 초과 하는 운동 강도

- 체력 (Physical Fitness)

USSG, ACSM 신체활동을 수행하기 위한 능력과 관련된 것으로 사람들이 가지고 있거나 얻어야 하는 일련의
속성이나 특성

신체조성의 특징과 효과

체중조절 방법신체조성(body composition)은 인체를 구성하고 있는 기관이나 조직 등을 정량적 또는 상대적인 비율로 나타낸 것으로써, 체내 지방, 뼈, 근육의 양을 확인하는 지표이다. 신체조성은 유전, 연령, 생활습관 등으로부터 영향을 받기도 하며, 특히, 운동에 의해 변화한다. 기본적으로 제지방량(지방을 제외한 뼈, 근육 등 모든 조직)이 많으면 우리는 건강한 신체를 유지한다. 반대로 체지방이 많으면 모든 대사질환을 발생시키는 원인이 되어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신체조성을 평가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직접측정법과 간접측정법이 있으며, 직접측정법으로는 캘리퍼 등의 도구를 통해 피부의 두께를 측정하는 두겹법(skinfold technique), 인체 내에 전류를 흐르게 한 후 저항 정도를 통해 확인하는 생체전기저항 측정법(bioelectric impedence analysis, BIA), X-ray 촬영을 통해 뼈를 비롯한 신체구성성분을 확인하는 방법(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DEXA) 등이 있으며, 간접측정법으로는 체중을 신장의 제곱으로 나눈 값 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 BMI)를 측정 또는 계산하는 방법이 있다.

청소년들의 비만을 판단하는 기준을 살펴보면 연령별, 성별, 체질량지수 25 이상은 비만, 20~29%는 경도비만, 30~49%는 중증도비만, 50% 이상을 고도 비만으로 분류 하기도 한다. 소아 청소년 표준 성장곡선 (질병관리본부, 2007)과 허리둘레-신장비의 백분위 기준으로 95 백분위수 이상 혹은 85~94 백분위수는 과체중(비만위험군)으로 진단하고 있다.

- BMI

비만 25이상
경도비만 20~29%
중증도비만 30~49%
고도비만 50%이상

- 백분위수

백분위수
비만 95 이상
과체중 85~94

나의 몸은 어떤체형일까?

체형은 신체의 형태와 구조를 말한다. 체형분류방법은 신체의 형태를 수량적으로 표현하는데 사용되는 과학적인 방법이다. 대부분의 체형분류에는 일반적으로 3가지의 신체유형, 즉 내배엽(endomorphy), 중배엽(mesomorphy, 그리고 외배엽(ectomorphy)으로 구분된다. 내배엽은 비만형이라고도 하며 신체의 외형이 부드럽고 근육이 중급되어 있지 못하며 지방이 많이 축적되어 있어 목이 짧고 가슴보다는 복부가 더욱 앞으로 튀어나온 모습을 보인다. 중배엽은 신체의 외형이 강인한 근육으로 중급해 있고 다리, 몸통, 팔의 골격은 육중한 모습이며, 가슴은 넓고 허리는 비교적 가늘며 승모근과 어깨세모근이 잘 중급되어 근육형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마지막으로 외배엽은 세장형이라고 불리기도 하며, 신체의 외형이 가늘고 나약해 보이며 어깨가 축쳐진 모양새를 하고 있어 왜소한 모습이며, 사지는 비교적 길고 몸통은 짧은 편이다.

체형은 유전적 영향으로 결정되기도 하지만, 운동을 통해 변하기도 한다. 내배엽인 청소년의 경우에는 유산소운동으로 지방량을 줄이고 근력운동을 통해 탄탄한 체형으로 바뀔 수 있으며, 외배엽의 체형을 가진 청소년의 경우 근육량을 늘릴 수 있는 운동을 지속함으로써 중배엽으로 변할 수도 있다. 따라서 청소년들은 꾸준한 운동으로 건강하고 탄력적인 몸매를 유지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운동은 체중조절의 원리

체중조절의 원리를 살펴보면, 섭취에너지보다 소비에너지가 적다면 체중이 중가하고 반대로 섭취에너지보다 소비에너지가 많다면 체중은 감소하게 된다. 규칙적인 식사 이외에 쉬는 시간에 과자(기름을 뛰긴)를 먹는다면 여분의 탄수화물로가 지방을 과잉섭취 할 수가 있다. 탄수화물은 혈액 속에 혈당과 근육속에 에너지원으로 충당이 되고 나면 나머지는 지방으로 변환하여 우리 몸속에 저장되기 때문이다. 또한 30분 조깅 운동을 통한 에너지 소비량이 대략 300kcal이지만 여러분이 먹는 과자봉지 하나가 300kcal에 해당할 수 있다. 이렇게 운동으로 소비하는 에너지소비량보다 섭취하는 양이 많다면 비만이 되는 것이다.

운동은 체중조절 방법

체중을 감소하기 위하여 많은 이들이 식이요법과 운동을 실시한다. 어떤 방법이 효과적인지 살펴보자! 여성들을 대상으로 16주간 동안 식이요법만으로, 운동만으로, 그리고 음식 섭취와 운동을 병행하면서 조건을 같이 하여 체중 감소를 시도할 때의 신체조성 변화를 살펴보았다. 식이요법만을 통해 체중조절을 시도한 집단은 일시적인 체중감량의 효과를 볼 수 있었지만 제지방량이 감소하여 초급대사량이 떨어져 추후 요요현상을 초래 할 수 있다.

감량방법 내용
식이요법 하루 칼로리 섭취량 칼로리 500kcal ↓
신체활동은 유지 →
운동 식단을 유지 →
신체활동을 500kcal ↑
식이요법+운동 하루 칼로리 섭취량 칼로리 250kcal ↓
신체활동량을 250kcal ↑

체중조절을 위해 운동만을 실시한 집단에서는 상대적으로 체중은 덜 감소하였지만 제지방량이 증가하고 체지방량이 감소하는 결과를 보여 신체조성에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식이요법과 운동을 병행한 집단에서는 체지방량을 가장 많이 떨어뜨렸고, 제지방의 무게 또한 증가시켜 신체조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현재 자신의 신체 상태가 섭취에너지가 많아 비만이거나 과체중일 때는 식이요법과 운동을 병행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즉 장기간에 걸친 에너지 섭취량과 소비량의 불균형이 체중의 변화를 초래한다. 우리가 하루에 섭취하는 에너지가 소비하는 에너지를 100kcal 정도 초과하면 1년 동안 36,500kcal의 잉여 에너지가 생기게 된다. 체지방 0.45kg은 약 3,5000kcal(지방 조직의 87%가 지방, 395g x 9kcal/g = 3, 555kcal/pound)의 열량을 함유하고 있다. 그러므로 일 년 동안 4.7kg의 체지방을 얻게 된다는 계산이나온다. 한편, 1일 에너지 섭취량을 100kcal 정도 줄이면서 매일 1.6km 정도의 조깅으로 100kcal 정도의 에너지를 소비한다면 일 년 동안 약 9.5kg의 체지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현재 자신의 신체 상태가 비만이 아닐 경우 식습관은 그대로 유지하고 운동만을 통해 체중조절을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우리 몸은 운동, 초급대사 그리고 음식 섭취를 통해 열을 발산하면서 에너지를 소비하여 체중을 유지한다. 인간이 기본적인 생체 기능(숨을 쉬고, 체온유지 등)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최소한의 에너지 소비율을 초급대사량(basal metabolic rate; BMR)이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우리가 매일 소비하는 전체 에너지의 60-75%를 차지하며, 나머지는 운동을 통해 15~30%, 녹차와 같은 폴리페놀과 고춧가루와 같은 카테킨 음식 섭취을 통한 열 생산을 통해 10% 정도 소비된다. 따라서 초급대사량은 체중조절을 위해서는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한다고 할 수 있다. 그럼 체중조절을 위해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초급대사량은 어떻게 올릴 수 있을까? 그 답은 제지방량(근육량) 증가시키는 데 있다.

근육에서 에너지소비량이 초급대사에 60% 정도 차지하기 때문이다. 이것은 전체 하루 에너지비량에 40%에 해당된다. 운동은 운동자체만으로 에너지를 소모할 뿐만 아니라 하루 에너지대사에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초급대사량에도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운동을 통하여 근육을 활성화 시키면 초급대사량을 통한 에너지소비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초급대사량을 높여 놓으면 살이 안찌고 좋은 신체조성을 지속적으로 유지 할 수 있게 된다.

비만의 정의

비만은 우리 몸에 지나치게 많은 지방이 축적된 상태를 말한다. 흔히 살이 찐 사람이나 체중이 많이 나가는 사람을 보고 비만이 라고 하지만, 비만은 단순히 체중이 많이 나가는 것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체지방량이 일정기준 이상 비정상적으로 초과되었을 때를 말한다. 인체의 지방량은 남성의 경우 필수지방이 3%, 저장 지방이 12%로서 적정 지방량은 15% 정도이고, 여성의 경우 필수지방이 12% 저장지방이 15%로서 적정 지방량은 27% 정도이다. 비만의 판정기준은 필수지방과 저장지방을 합한 후 약 5%의 체지방을 더한 값을 기준으로 판정한다. 결과적으로 남성은 체지방이 20% 여성은 32%를 초과할 때 비만으로 판정하나 이러 한 평가기준은 학자들마다 다소 차이를 나타내기도 한다.

비만과 성인병

비만은 신진대사작용에 나쁜 영향을 미치게 되고 관상동맥질환, 심장병, 고혈압, 당뇨병과 같은 성인병에 걸릴 확률이 높아 진다. 따라서, 비만인 사람은 규칙적인 신체활동을 통해 비만을 극복하고 심장과 근육기능을 향상시켜 성인병 예방에도 적극 대처해야 한다.

비만 판정법

- 체지방율에 의한 방법

체지방율(% fat)은 체중에 대한 지방의 백분율을 나타낸 것이므로 그 측정결과에 의해 인체의 지방량 수준을 판단할 수 있다. 체지방량은 체지방율(% fat)로 표시해 평가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체지방율은 체중에 대한 지방의 백분율을 의미하므로 그 비율로써 인체의 지방이 많고 적음을 판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신장에 비해 체중이 많으면 비만으로 간주하기 쉬운데 근육이 잘 발달된 사람은 신장에 비해 체중이 많을 수 있으므로 체지방율을 통해 과체중과 과지방이 정확히 구별되어야 한다. 또한 체지방율이 정상 범위보다 높으면 비만에 가깝고 낮으면 이상적이지만 체지방량이 적다 할지라도 체중이 정상 범위보다 훨씬 적다면 오히려 의학적 진단이 요구된다. 따라서 비만판정은 체지방율과 근육의 발달 정도를 고려하여 평가되어야 한다. 체지방율의 평가 기준은 신체 구조상 여성이 남성보다 5% 정도 높으며, 연령증가에 따라 정상범위가 다소 높게 제시되어 있다. 미국대학스포츠의학회(ACSM)의 지침에 따르면 남자의 경우 체지방량이 전체 체중의 25% 이상, 그리고 여자의 경우 32% 이상 일 때를 비만이라고 평가한다.

- 신체질량지수법

비만정도나 지방의 축적 정도를 파악하기 위한 지수로 활용되는 신체질량지수(BMI = 체중(kg)/신장(m)2)는 신장과는 상관이 적고 체지방의 양과는 상관이 높다. 성인의 경우 평가기준은 BMI 20 미만은 저체중, 20~24는 정상체중, 25 이상은 비만으로 평가되며, BMI지수는 현재체중(kg)을 현재 키(m)의 제곱으로 나눈 값이다.

BMI = 체중(kg) / 신장(m)2


go top